☞ 질의회시 / 안전보건정책과-641. / 노동부
☞ 회시일 : 2010-06-14
질의
○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의하여 사망자를 포함한 산업재해를 1개월 이내에 보고한 경우 동
조 제2항에 의한 중대재해 발생 보고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
회시
○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은 산재통계산출 목적이며, 동조 제2항은 중대재해를 조사하여 정확
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, 두 조항의 목적과 취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중대재해의 경우에는 동법
시행규칙 제4조제1항 및 제2항에 의한 보고를 모두 하여야 함.
다만, 동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중대재해 보고기한의 기산점은 “중대재해가 발생한 때”가 아
닌 “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때” 임에 유의하시기 바람.
공인노무사 고헌영(대우노무법인)
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46-1 유창빌딩 904호
TEL 02-780-4570
FAX 1515-010-3005-7229
HP 010-3005-7229
☞ 회시일 : 2010-06-14
질의
○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에 의하여 사망자를 포함한 산업재해를 1개월 이내에 보고한 경우 동
조 제2항에 의한 중대재해 발생 보고를 한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여부
회시
○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제4조제1항은 산재통계산출 목적이며, 동조 제2항은 중대재해를 조사하여 정확
한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, 두 조항의 목적과 취지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중대재해의 경우에는 동법
시행규칙 제4조제1항 및 제2항에 의한 보고를 모두 하여야 함.
다만, 동법 시행규칙 제4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중대재해 보고기한의 기산점은 “중대재해가 발생한 때”가 아
닌 “중대재해가 발생한 사실을 알게 된 때” 임에 유의하시기 바람.
공인노무사 고헌영(대우노무법인)
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46-1 유창빌딩 904호
TEL 02-780-4570
FAX 1515-010-3005-7229
HP 010-3005-7229
'노동법 행정해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관행적으로 추가인정 되고 있는 전임자의 계속 인정여부 (0) | 2011.08.12 |
---|---|
공동대표이사의 경우 대표이사 중 1인을 안전관리자로 선임할수 있는지 (0) | 2011.08.05 |
근로자가 산업재해 발생일로부터 1개월이 지나 사업주에게 보고하였을 경우 산업재해 발생보고 의무 위반인지 여부 (0) | 2011.07.28 |
자동연장·자동갱신협정의 차이 및 조합발전기금지원의 효력 (0) | 2011.07.22 |
매점 및 자판기 운영권 양도가 경비원조에 해당하는지 여부 (0) | 2011.07.21 |